역사란 무엇일까. 역사란 대체 무엇인가. 사학을 전공했지만, 그와는 전혀 무관하게도 여전히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다. 왜냐하면 정해진 답은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는 질문할 수 있겠다. 나는 역사를 무엇이라 생각할까? 아니, 인식할까?

역사는 발전하는 것인가 아니면 넓어지는 것인가. 사람, 대상, 혹은 단체는 발전해야만 하는가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인 것인가?


밀란 쿤데라의 '커튼'을 읽고 있다.

박웅현씨의 '다시, 책은 도끼다.'를 읽고서 손에 잡은 책이다.

'다시, 책은 도끼다.' 리뷰 링크


도서관에서 빌렸는데, 대출기한을 연장했다. 천천히 읽고, 또 읽고싶어지는 책이다. 결국, 나는 이 책을 사게될 것 같다. 곁에 두고 계속 꺼내보고 싶은 책이 이미 되었으니 말이다.

책 전체에 대한 리뷰는 아직 멀었지만, 그중 기억해놓고 싶은 부분이 있어 적고 생각을 남기려 한다.


'1부 연속성의 의식 중, ['역사'라는 단어의 다양한 의미들]

"위대한 의사 A는 어떤 병을 고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잇는 치료법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십 년 후 의사 B가 더 효과적인 치료법을 만들어 내고, 그리하여 이전(그러나 천재적인) 치료법은 폐기되고 망각된다. 과학의 역사는 진보의 특성을 지닌다.

 역사의 개념이 예술에 적용되면 진보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그것은 완성, 개선, 향상을 함축하지 않으며, 미지의 땅을 탐험하고 그것을 지도에 글여 넣으려고 시도하는 어떤 여행에 가깝다."


우리는 스스로 역사를 만들어낼 때가 있다. 누군가에게 자기를 소개할 때, 한 단체가 지나온 길을 설명할 때가 그 때이다. 지금의 '나', 현 상태의 '나'가 있다. 나의 선택이 지금의 나를 만들어낸 것도 있지만, 선택이 아닌 어떠한 환경들도 지금의 '나'를 만들어냈다.

그런데,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나는 '진보'하였는가? 실제로 그리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렇다는 믿음이 있다. 그러하다고 믿고싶은 마음이 있는 것이 실제에 조금은 더 근접한 말일까.

자기소개서 쓰기가 왜 어려울까. 대상의 역사를 정리한다는 것이 왜 어려울까. 밀란 쿤데라의 단어를 빌리면 '커튼'을 잔뜩 쳐놓아서이다. 지금의 나는, 도덕적으로 훌륭할까. 낭비 없는 인생을 살고 있는가. 누군가에게 정말 떳떳한 삶을 살고 있을까. 문제는,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그렇다'라고 이야기해야 하는 모순에 있다. 내가 인생을 똑바로 살아왔다면 나는 발전하고 진보했어야 맞는 말이니까. 그래야 남이 좋아하고, 그것이 '정상'이니까. 하나를 숨기면, 다른 하나를 다시 숨겨야 한다. 숨긴다 라는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렇게, 지금의 나로부터 시작해 과거를 더듬으며 사실아닌 과정을 적어내려갈 때에 완성된 것은 역사일지 소설일지 알기 어렵다.


돈키호테가 왜 그리 유명한 소설일까. 현실에 맞서 꿈을 좇은 사람의 아름다운 이야기여서 사람들의 기억에 오래 남은 줄 알았다. '라만차의 돈키호테' 그 이름도 멋지다. 돈키호테는 괴물과 맞서 싸웠다. 충성스러운 하인인 산초가 있다. 사랑하는 공주님을 위해 순정을 바칠 줄도 아는 남자이고, 자신의 신념을 지킬 줄 아는 멋진 사나이로 여행중이다. 똑같은 말이지만 다시 이야기해볼까. 알폰소 키하다라는 정신병자가 소설을 하도 많이 읽어서 스스로를 돈키호테라 이름짓고, 조금 더 정신병자같은 바보인 산초라는 사람을 데리고 다닌다. 풍차를 괴물이라 부르며 달려든다. 옆동네 이쁘지도 않은 한 여인을 공주라고 부르고 사랑한다고 말한다. 한번도 본 적도 없고 실재하지도 않는 이를 '사랑'한다라고 한다면 과연 사랑이란 무엇일까. 착한 사람들을 악당이라고 외치며 공격하고, 무전취식하고 때로는 돈도 뜯기며 지금도 계속 돌아다니는 중이다.

돈키호테의 주인공은 하나이지만, 이야기는 두개이다. 우리는 이 두개의 이야기를 병렬적으로 읽을수 밖에 없다. 커튼, 역사, 돈키호테까지 왔다. 지금의 나는 알폰소 키하다이지만, 돈키호테로 남들에게는 소개한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그렇게 강렬히 믿는다는 것이다. 상황은 꼬이고 악화된다. 내가 아닌 나를 '자신'이라고 믿으며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일까.

사실 아닌 역사를 나도 모르게 만들어놓고, 마치 나는 진보해야 하는 것처럼 만들어진 나처럼 행동해야 하는 것은 얼마나 힘든 일일까. 존재대로 살아라. 자신을 사랑해라. 현재가 너에게 가장 큰 선물(PRESENT)이라는 등의 우리를 위로하는 말들이 있다. 이 말들이 정말 전하고픈 메시지는 커튼을 걷으라는 소리 아닐까. 진보하고 싶다면, 나아지고 싶다면, 조금 더 넓어지고 싶다면, 당신 자신을 똑바로 봐라. 돈키호테로 포장된 누군가가 아니라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자신을 먼저 바라보고 직면해라. 그래야 더 나아질 수 있지 않을까. 첫 단추를 끼는 것이 아닐까. 아직도 첫 단추를 끼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인정한 다음에야 우리는 스스로에게 맞는 옷을 고를 자격이 주어지는지도 모르겠다.

다시 써본 부제

"책은 거들뿐 : 내 생각을 깨는 커스텀 도끼 제작 경험담"




독서편력

읽고싶은 책은 항상 있다. 허나, 읽고싶은 책이라고 해서 항상 술술 읽히는 것은 아니다. 이럴 때 읽는 두 가지 종류의 책이 있다. 고전이거나, 유명인이 쓴 책이거나.



제목 및 저자

이번에 읽은 책은 박웅현씨가 쓴, '다시, 책은 도끼다'이다.

'책은 도끼다'에 이은 후속작이다. 전작은 사실 읽어보지 않았다.

먼저 읽어도 좋겠지만, 시간순으로 읽어야 하는 책은 아니라는 판단이 들어 최근에 나온 이 책을 먼저 잡았다.


읽은 동기

TBWA라든지, 박웅현씨라든지, 혹은 그가 만든 여러 카피들은 에너지를 쏟지 않아도 익히 들은바 있었다.

어떤 책을 읽는 사람일까 궁금했다. 그 책을 어떻게 읽고 있을까 궁금했다.


내용소개

책과 강독법을 소개하는 여덟번의 강의를 책으로 엮었다.

철학, 문학, 예술 등 한 주제 안에 몇가지 책을 선정한다.
그리고는 그 안에 있는 텍스트(저자가 밑줄 친)들을 소개하고 그를 중심으로 책과 자신의 생각을 적어(말해)나간다.
즉, 나는 이런저런 책을 읽었고 이 부분이 좋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었으며, 나에게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설명해 나간다.

다시, 즉! 자신의 독법을 소개한다.


느낀점

나만의 것, 독특한 것, 개성 등등. 세상에 유일하고, 나에게만 허락되며, 다른 것들과 구분되는 것들을 소유하기를 원하는 것이 소비자의 욕구 아닐까 싶다. 동시에, 안정되고 손해보지 않는 길을 걷고싶은 마음도 있지 않을까. 박웅현씨의 책을 읽는 사람들의 심정은 그와 같지 않을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라는 사람이 쓴 책을 읽으면, 그 사람이 읽은 책을 읽으면 적어도 손해는 보지 않으면서 그의 독특한 시선을 공유할 수 있을 것만 같은 환상 말이다.

글을 쓰며 조금 더 명확히 알았지만, 나도 사실 그런 기대로 책을 집은 것 같다. 그런데, 저자는 '그러지 마!'라고 한다.

"빨리 많이 읽는다고 좋은거 아니야, 천천히 하나를 제대로 읽어. 나도 자랑하고 싶어 책을 읽기도 해. 그런데, 나중에 다시 읽었을 때 결국 깨달음이 오더라. 이건 그냥 내가 그랬다는 거고 너까지 그래야 한다는 이야기는 아니야"

여러 책들을 소개하고 자신의 독특한 시선을 말하는 강연을 기대하고 책을 집었건만, 저자는 '야, 그거 아니야:)' 이런다.


다시, 부제 : "책은 거들뿐 : 내 생각을 깨는 커스텀 도끼 제작 경험담"

예쁜 신발, 좋은 옷 등등. 아무리 좋은 기성품이 있어도, 나에게 맞지 않고 어울리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우리의 삶과 생각도 마찬가지다. 각자가 처한 상황과 과거로 인해 지금의 나가 결정되었다. 내가 선택한 부분도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가진 생각이 다르고, 지켜야 할 것과 파괴해야 할 것들이 다르다.

도끼를 생각해 보자. 검색도 하지 않고 내 맘대로 막 지어보면... 대인용 도끼, 벌목용 도끼, 조각용 도끼 등 도끼만 해도 그 종류가 수가지일 듯 하다. 같은 벌목용 도끼라 하더라도 사람의 체형과 체구, 손 모양에 따라 디자인과 무게 등의 구성요소가 달라야 할 것이다.

세상은 '좋은 기성품을 사면 되' 라고 말한다. 흐름에 휩쓸려 너도 나도 기성품을 사지만 그 행동에 허무함이 깃드는 이유는 그것이 과연 '나에게 맞는 것'이냐의 문제이다.

독서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는 나를 아는 것이다. 나를 구성하고 있는 생각의 뿌리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 뿌리에서 시작하여 줄기와 잎사귀를 자라게 하는 양분은 무엇이었는지를 알고 싶은 것이다. 그리고, 나를 깨는 것이다. 내가 나라고 생각하는 껍데기를 까부숴야 하는 것이다. 

"새는 알에서 나오기 위해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누구든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된다. 새는 신을 향해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이다."

소설 데미안에 나오는 한 구절처럼 말이다.

작가는 여러 책을 통해, 자신의 도끼를 보인다. 그러면서, '이 도끼랑 똑같은 것을 만드세요. 이것만이 가치있어요.' 라고 하지 않는다. 단지, 도끼를 만든 경험담을 너무나도 즐겁게 이야기할 뿐이다.


기본적인 이야기. 기본중 가장 기본. 허나, 성급하게도 잘 지키지 못하는 기본을 작가는 결국 이야기한다.

+ Recent posts